-
[DB설계] ERD 설계Health-Genie 2023. 5. 24. 21:08728x90
논리적 & 물리적 설계 차이
IDE-entity ERD로 보는 테이블 참고로, erd테이블도 [왼쪽이 논리적 설계, 오른쪽이 물리적 설계] 이며, erd field도 논리필드, 물리필드 순서이다.
간단한 정리
논리적 설계 -> 사용자 관점에서 본 데이터의 논리적 배치
물리적 설계 -> 저장하는 관점에서 본 데이터의 물리적 배치로 데이터의 실체 구조
말하고자 하는바
@Table(name="USER_TB") -> DB에 실제로 저장되는 테이블 이름 [ 물리적 설계 ] public class User {} -> 사용자가 보는 테이블 이름 [ 논리적 설계 ] @Column(name="uniname) -> DB에 실제로 저장되는 field 이름 [ 물리적 설계 ] private String uniName; -> 사용자가 보는 field 이름 [ 논리적 설게 ]
네이밍 규칙
1. 테이블 : 대문자, '_'로 단어 구분, _TB를 마지막에 붙인다
2. COL : 대문자, '_'로 단어 구분
3. PK : 테이블명 뒤에 _PK
4. FK : 테이블명 뒤에 _FK1차 ERD 설계
1차 ERD 이번 프로젝트 같은 경우에는 Flowchart, 기능 명세서를 통해 먼저 필요한 DB 테이블들을 정리하고, 이들을 바탕으로 create query 문을 작성해서 만들었다.!
2차 ERD 설계
2차 erd 설계 https://inpa.tistory.com/entry/ERD-CLOUD-☁%EF%B8%8F-ERD-다이어그램을-온라인에서-그려보자#
'Health-Geni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ymbol 에러] error: cannot find symbol log.info (1) 2023.06.12 [UserDetail] InternalAuthenticationServiceException 에러 (0) 2023.06.04 [mail] Authentication Fail 문제 (0) 2023.06.04 [MySQL 1822 에러] Failed to add the foreign key constraint (0) 2023.06.02 [암호화] property 암호화하기 (0) 2023.04.04